2025.01.13 (월)

  • 구름조금동두천 0.8℃
  • 흐림강릉 3.7℃
  • 맑음서울 1.1℃
  • 맑음대전 4.6℃
  • 구름조금대구 3.8℃
  • 맑음울산 4.2℃
  • 맑음광주 4.2℃
  • 맑음부산 4.7℃
  • 맑음고창 5.4℃
  • 구름조금제주 8.5℃
  • 구름많음강화 1.1℃
  • 맑음보은 1.3℃
  • 맑음금산 4.2℃
  • 맑음강진군 5.8℃
  • 맑음경주시 4.2℃
  • 맑음거제 4.1℃
기상청 제공

디지털 전환이 몰고 올 산업 및 고용구조의 변화 - 한국고용정보원, 연구보고서 발간

"자동화와 AI 도입, 고용 감소와 직무 변화 가속… 산업별 맞춤형 대책 필요"

 

한국고용정보원이 디지털 전환이 한국의 산업과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디지털 기반 기술혁신과 인력수요 구조 변화" 연구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자동화와 인공지능(AI)을 포함한 디지털 전환이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주요 목적에서부터 고용 구조와 직무 변화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보고서에서 실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디지털 전환 기술의 도입은 제조업에서 생산성 및 효율성 향상, 서비스업에서는 업무 편의성과 소비자 편익 증진을 주요 목표로 삼고 있다. 향후 고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기술은 인공지능(AI)이며, 이를 이미 도입하여 활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18.3%에 달했다. 이러한 기술이 성공적으로 활용될 경우, 향후 5년간 고용 규모가 8.5% 줄어들고, 10년 후에는 13.9%까지 감소할 수 있다는 예측이 나왔다. 특히 음식숙박업과 운수·물류업에서 고용 감소폭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직무별로는 인지적 특성이 강한 연구직과 공학 기술직에서 AI가 보완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지만, 설치·정비·생산직에서는 자동화로 인해 대체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디지털 전환이 활발해질 경우 평균 근무시간은 줄어들고 평균 임금이 상승하는 등 노동의 질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직업별로 디지털 전환에 따른 대체 가능성을 분석한 델파이 조사에서는 숙련도와 대면 서비스가 필요한 직업군의 대체 가능성은 낮은 반면, 사무직, 판매직, 장치기계조립 및 단순노무 직군에서는 높은 대체 가능성을 보였다. 생성형 AI의 확산은 이 같은 변화의 속도를 더욱 빠르게 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구를 총괄한 저자는 "노동력과 숙련직의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전환과 같은 기술 혁신을 가속화하고, 산업 및 고용구조 변화에 대응하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발생할 직무 전환과 산업구조 변화에 대비한 직무 재교육 및 유휴인력 지원책 마련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HealthEco.Media 정진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