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장수국’ 한국, 기대수명 83.5년…의사·간호사 수는 OECD 평균 미달
외래 진료는 최다, 병상 수도 압도적 1위…자살률·제왕절개 비율 등 구조적 과제는 여전
보건복지부는 7월 30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OECD 보건통계 2025」를 토대로 우리나라 보건의료 수준을 종합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주요 지표 기준 연도는 2023년으로, 우리나라의 장점과 취약점이 뚜렷이 드러났다. ■ 기대수명 83.5년…스위스·일본 이어 세계 최상위권 우리나라의 기대수명은 83.5년으로 OECD 평균(81.1년)보다 2.4년 높았다. 이는 스위스(84.3년), 일본(84.1년)에 이어 OECD 3위권에 해당한다. 특히 여성 기대수명은 86.4년으로 OECD 평균(83.7년)보다 2.7년 더 길었다. 이는 향상된 위생, 예방접종, 의료 서비스 접근성 향상 등 건강 인프라가 일정 수준 이상 성숙했음을 시사한다. ■ 회피가능사망률·영아사망률 낮아…질병 예방 효과 뚜렷 회피가능사망률(예방 및 치료가 가능했음에도 사망한 경우)은 인구 10만 명당 151.0명으로, OECD 평균(228.6명)보다 약 34% 낮았다. 이는 조기진단과 시의적절한 치료 시스템이 잘 작동하고 있다는 평가다. 영아사망률도 출생아 1,000명당 2.5명으로, OECD 평균(4.1명)보다 크게 낮았다. 반면, 자살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23.2명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