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인관계와 의사소통의 복잡한 미로를 탐험할 새로운 지침서 '관계의 이해와 소통의 지혜'가 출간됐다. 성미라, 김경미, 김진주, 박미현, 연영란이 공동 저술한 이 책은 현대 사회에서 인간관계와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독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관계의 이해와 소통의 지혜'는 두 가지 주요 주제로 나뉘어 있다. 첫 번째 파트는 '관계의 이해'로, 나 자신을 이해하고 타인의 마음을 헤아리는 방법에 대해 다룬다. 두 번째 파트는 '소통의 지혜'로,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전략과 방법을 제시한다.
Part 1: 관계의 이해
첫 번째 파트는 독자들에게 대인관계의 긍정적인 성장을 위해 나 자신을 이해하는 방법을 알려주고, 상대방 마음 헤아리기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Chapter 1: 나 자신 알기에서는 자기 이해의 필요성과 방법을 소개하며, 감정 처리 방식, 성격 유형, 자기 성찰, 긍정적인 인식을 통한 자기 탐색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Chapter 2: 나 자신 진단하기에서는 에니어그램, MBTI, TCI 등의 도구를 활용해 숨겨진 나의 특성과 대인관계 특성을 진단한다. 각 진단 도구의 의미와 활용법, 유의할 점 등을 통해 독자들이 자신의 성격과 기질을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Chapter 3: 타인 이해하기에서는 조하리의 창, 매슬로의 욕구 이론을 통해 타인의 시선으로 보는 방법과 서로의 욕구를 이해하는 중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주장적 표현의 중요성과 이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Part 2: 소통의 지혜
두 번째 파트는 서로 좋은 관계로 나아가는 길을 안내하며,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상황별 전략과 방법 등을 수록한다.
Chapter 4: 의사소통의 이해에서는 의사소통의 정의, 기능, 유형을 설명하며, 의사소통의 모델과 구성 요소, 부적응적 의사소통의 개선 방안 등을 다룬다.
Chapter 5: 의사소통 이론에서는 사티어의 의사소통 이론과 교류 분석 이론을 통해 자존감과 의사소통의 관계, 자아 상태와 기능 등을 분석한다.
Chapter 6: 효과적인 의사소통에서는 효과적인 의사소통의 중요성과 이를 위한 고려 사항을 설명한다. 해리스의 인간관계 유형, 발달 단계별 인간관계, 비언어적 행위와 환경 조성의 중요성을 다룬다.
Chapter 7: 의사소통의 기술에서는 경청, 공감, 수용, 침묵 등의 의사소통 기술을 소개하며, 구체적 말하기, 재진술, 요약 등의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한다. 또한, 비효과적인 의사소통 방식과 그 대처법을 제시한다.
Chapter 8: 상황별 의사소통에서는 감정 이해 및 표현, 자율성 향상을 위한 의사소통 기법, 욕구 갈등 해결 전략 등을 다루며, 친구, 동료와의 의사소통, 면접 상황에서의 의사소통 방법을 소개한다.
Chapter 9: 갈등 다루기에서는 갈등의 정의, 유형, 과정, 기능을 설명하며, 갈등 관리 및 해결 전략을 제시한다. 토마스와 킬만의 갈등 해결 전략과 윈-윈 관리법을 통해 갈등을 효과적으로 다루는 방법을 알려준다.
Chapter 10: 비폭력 대화(NVC)에서는 비폭력 대화의 개념과 주요 요소를 설명하며, 공감과 소통에 도움이 되지 않는 말, 비폭력 대화의 두 가지 측면 등을 다룬다.
성미라, 김경미, 김진주, 박미현, 연영란 공저의 '관계의 이해와 소통의 지혜'는 독자들에게 대인관계와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다시금 일깨우며, 실질적인 방법론을 통해 더 나은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한올출판사를 통해 발행된 이 책은 2024년 7월 15일부터 서점에서 만나볼 수 있다.
HealthEco.Media 정진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