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6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ESG일반

전체기사 보기

"지하댐, 단순한 물 댐을 넘어선 '통합 물 관리 혁신'으로"

기술적 난제와 정책적 과제, 그리고 지속 가능성의 미래를 심층 분석하다

지구촌 곳곳이 기후 변화로 인한 가뭄과 물 부족 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한국에서는 새로운 수자원 확보 방안으로 지하댐이 각광받고 있다. 지하댐은 기존의 거대한 콘크리트 댐과는 달리, 지표면 아래에 차수벽을 설치하여 땅속의 지하수를 가두고 인공적으로 수위를 높이는 시설이다. 이 혁신적인 방식은 환경 훼손을 최소화하면서도 안정적인 용수를 확보할 수 있어, 미래 세대를 위한 지속 가능한 해결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지하댐의 기술적 원리와 차별성 지하댐은 단순히 땅속에 벽을 쌓는 것을 넘어선 첨단 토목 기술의 집약체이다. 먼저, 건설 대상지의 지질 구조와 지하수 흐름을 정밀하게 분석하는 것이 최우선이다. 땅속의 투수율이 높은 지층을 찾아 이를 따라 차수벽을 설치하는데, 이 벽은 주로 벤토나이트-시멘트 혼합물이나 불투수성 점토를 활용하여 물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차수벽은 강수량이 적을 때에는 지하수위를 유지하여 물 부족을 막고, 비가 많이 올 때에는 일종의 자연 저류지 역할을 하여 홍수를 조절하는 기능까지 수행한다. 이러한 기술적 특성은 기존 댐이 가진 한계를 보완한다. 지표면에 건설되는 댐은 필연적으로 막대한 산림 훼손, 생태계 교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