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이 이끄는 재생에너지 전환…캠퍼스가 ‘ESG 시험장’으로 변신
경기대 ESG 선도 대학 지정, 서울대 태양전지 기술, 지역 연계 모델까지…한국 대학, 탄소중립의 중심에 서다
국내 대학들이 신재생에너지 실천의 모범 사례로 떠오르고 있다. 교육과 연구, 실생활 전력 자립까지 포괄하는 전방위적 전환을 통해, 캠퍼스가 곧 ‘탄소중립 실험실’이자 ‘ESG 교육 현장’으로 바뀌고 있는 것이다. ■ 경기대학교, ESG 선도 대학 지정…현장 체험부터 자격증 과정까지 경기대학교는 2024년 국내 최초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선도대학으로 선정되어, 학생 중심의 신재생에너지 체험·교육 프로그램을 본격화했다. 대표적으로 제주 ‘탄소 없는 섬’(CFI 미래관)을 직접 탐방하고, 풍력·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시설을 교육 현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학생들은 실무 중심의 재생에너지 교육을 통해 ESG 보고서 작성 실습과 관련 자격증 과정까지 연계하며, 단순 이론을 넘어선 실천형 교육에 참여하고 있다. ■ 전국 대학, 태양광 패널 확대로 캠퍼스 전력 자립도↑ 신재생에너지 확산은 시설 투자로도 이어지고 있다. 최근 전국 대학 캠퍼스 곳곳에 태양광 패널 설치가 확산되며, 자체 전기 생산을 통해 전력 자립도를 끌어올리고 있다. 이는 산업통상자원부 주관의 ‘신·재생에너지 건물지원사업’과 연계되거나, 대학 자체 예산으로도 추진된다. 실험·연구 시설은 물론 강의동